안녕하세요, 오늘은 최근 발표한 서울의 새로운 교통수단인 리버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한강 리버버스
올해 10월부터 서울시는 새로운 수상 교통수단인 '리버버스' 운영을 발표했습니다. 그간 오세훈 시장이 추진해 온 <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>의 일환으로 한강변은 더욱 주목을 받을 것 같습니다.
선착장
마곡, 망원, 여의도, 잠원, 옥수, 뚝섬, 잠실로 총 7개의 지역이 선정되었습니다.
지역 | 선착장 위치 | 사유 |
마곡 | 가양나들목 인근 | - 마곡산업단지 업무 수요 |
망원 | 망원나들목 인근 | - 망원동, 성산동 주거수요 - 망리단길, 하늘공원 관광 수요 |
여의도 | 여의도 한강공원 이벤트 광장 인근 | - 여의도 업무 수요 - 5호선 환승수요 |
잠원 | 신사나들목 인근 | - 신사동 및 압구정 주거수요 - 상업 관광 수요 |
옥수 | 옥수나들목 인근 | - 옥수,금호 주거 수요 - 3호선 접근을 통한 주요 업무지역 환승 |
뚝섬 | 뚝섬한강공원 내 청담대교 하부 | - 뚝섬 관광 수요 - 7호선 환승 |
잠실 | 잠실나들목 인근 | - 잠실,신천 주거수요 - 롯데월드 및 타워 관광수요 |
✔ 여의도·옥수·뚝섬은 지하철 연계로 추진 ☞ 지하철 - 선착장 도보 5분 연결
✔ 마곡·망원·잠원·잠실은 버스연계 ☞ 버스노선 신설 또는 변경으로 접근성 증대(버스 연계를 통해 접근성 개선이 승패를 가를것)
배차간격
주중 출퇴근 시 15분, 주중 일반 및 주말 30분 간격 운항이며, 주요 근무지인 마곡,여의도, 잠실만 정차하는 급행노선도 운영 예정이라고 합니다.
- 일반 : 마곡 → 잠실 75분
- 급행 : 마곡 → 잠실 54분
한강 리버버스 요금(vs 타 교통수단)
평일 주말 구분 없이 3,0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기후동행카드 68,000원 무제한 이용 가능합니다. 일반버스 및 지하철대비 가격은 비싸지만 광역버스·신분당선·GTX-A랑 비교하면 그렇게 비싸다고 느껴지지도 않습니다.(리버버스는 전원 좌석제로 운영됨)
- 버스기본요금 : 1,500원
- 지하철기본요금 : 1,400원
- 광역버스기본요금 : 3,000원
- 신분당선 기본요금 : 2,200원
- GTX-A 기본 요금 : 3,450원(예상)
- 한강 리버버스 요금 : 3,000원
한강 리버버스 시간(vs 타 교통수단)
출발지 | 교통수단 | 시간 | 목적지 |
한강타운아파트(가양) | 버스 | 47분 | 여의도 |
- | 잠실 | ||
지하철 |
26분 | 여의도 | |
57분 | 잠실 | ||
한강 리버버스 | 급행 30분 / 일반35분 | 여의도 | |
급행 1시간 / 일반81분 | 잠실 | ||
옥수삼성아파트(옥수) | 버스 | 51분 | 여의도 |
1시간 | 잠실 | ||
지하철 | 34분 | 여의도 | |
40분 | 잠실 | ||
한강 리버버스 | 35분 | 여의도 | |
25분 | 잠실 |
①선착장 인근 아파트 기준 ②출·퇴근 시간 기준 ③선창장까지 도보 시간 산정 ④업무지구 이동기준
중점사항으로는
✔ 선착장인근 지역은 지하철 시간과 크게 차이 없음
✔ 리버버스 정시성이 핵심
✔ 예약제도 여부
✔ 출퇴근 지옥 vs 쾌적한 리버버스
한강 리버버스의 핵심은 "정시성"으로 보입니다. 정시 운항이 보장된다면 흥할 것이고 정시 운항을 보장할 수 없다면 관광용 적자사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
다음에는 선착장 인근 수혜지역과 아파트 단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'부동산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공부] 재개발 방식 비교 - 신속통합기획 특징 및 장·단점 (1) | 2024.03.08 |
---|---|
[부동산 공부] 이제는 선세권! - 옥수나들목인근 (0) | 2024.02.24 |
[부동산 공부] 이제는 선세권! - 망원나들목인근 단지 (0) | 2024.02.21 |
[부동산 공부] 이제는 선세권! - 가양나들목인근 단지 분석 (0) | 2024.02.17 |
2024년 강남 로또 청약 단지 - 하반기 <미리미리 준비하자> (0) | 2024.02.06 |
2024년 강남 로또 청약 단지 - 상반기 <미리미리 준비하자> (1) | 2024.02.05 |
2024년 강남 로또 청약 사전 확인사항(투기과열지구, 분양가상한제) (0) | 2024.01.28 |
2024년 부동산 정책 변경 사항(신생아 특례대출 & 특별공급,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,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중단) (0) | 2023.1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