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오늘은 학군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으며 현재 학군지로 좋지 않은 평가를 받더라도 차후 좋아질 수 있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학군지의 중요성
학령기 자녀를 가진 부모님들은 자녀의 교육에 굉장히 신경을 많이 씁니다. 공직자 청문회에서 항상 위장전입 문제로 시끌시끌하며 부정입학등은 공인에게 엄청나게 큰 리스크로 작용합니다.
끼리끼리 논다고 했던가 주변에 면학분위기가 조성되면 자연스럽게 공부하는 습관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것이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우수한 학군지를 찾는 이유입니다.
이렇듯 우수한 학군지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기 때문에 전세 수요가 받쳐주면서 매매가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답니다.
학군지 결정 요소
다양한 학원이 모여있는 곳
- 서울의 경우 대치, 목동, 중계동이 수도권의 경우에는 평촌, 일산, 분당이 손꼽힙니다.
- 다양한 학원이 밀집되어 있어 도보권 내에서 수준에 맞는 학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자녀들이 학원에 가있을 때 학원가 인근 카페는 자녀가 끝나길 기다리는 학부모들이 있습니다. 이런 학부모 커뮤니티를 통해 다양한 입시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.
✔Check Point ☞ 학원가 지역을 검색하는 방법은?
- 호갱노노 사이트 접속 → 왼쪽 상단목록에서 학원가 클릭 → 지도에 학원밀집분포에 대한 표시
명문고? 노노 중학교 학업 성취도부터!
- 요즘은 좋은 대학을 보내기 위해 고등학교 선택부터가 중요하며, 특목고(과학고·외고)를 많이 보내는 학교가 명문 중학교로 볼 수 있습니다.
- 중학교 학군을 평가할 때는 학업성취도와 특목고 진학률을 기준으로 판단하는데, 학업성취도란 보통성적의 학생의 비율을 말합니다. 다만 학업성취도가 높은것에 비해 특목고 진학율이 낮다면 시험이 쉬울수도 있다는 의미이니 주위 학교를 학업 성취도를 조금 더 보는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.(+ 학급 수가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많아진다면 해당 지역의 중학교 학군이
✔Check Point ☞ 중학교 학업성취도 및 특목고 진학율 확인 방법은?
- 학업성취도 및 특목고 진학율 검색방법은 "학교알리미 사이트 → 학교 검색 → 연도 선택 → 학업성취현황(학업성취도) + 학생현황(졸업생 진로)"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주변환경
- 주위에 유해요소가 없는지 역시 중요합니다. 견물생심이라고 자제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최대한 유해요소들이 눈에 안 보이는 게 좋겠죠?
- 그렇기 때문에 대단지 신축 또는 신도시 한복판에 있는 중학교들이 학업성취도가 좋답니다. 또한 이러한 곳은 소득 수준 및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 수준이 비슷한 가정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학교 내 아이들의 수준이 비슷합니다.(다른 말로 하면 엇나가는 친구들이 많이 없다.)
✔Check Point ☞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경
- 현재 학업성취도는 저조하여도 주변환경이 신축아파트로 변할 뉴타운이나 대규모 재개발 사업지의 경우 학업성취도 올라갈 가능성 매우 큼
다른 요소와 비교 시 학군지는?
✔ 서울 중심지 경우 학군지의 의미가 별로 없음 ☞ 서울 중심 반경 5km, 마용성의 다른 장점이 비학군지의 단점보다 큼
✔ 학군지는 규모가 매우 크지 않으면 큰 의미가 없음(대치, 목동, 평촌, 분당등)
✔ 수도권의 경우 입지적으로 교통>>>>학군 ☞ 교통편리성 = 직주근접 및 서울 접근성
✔ 결국 학군지가 선순환되려면 학원가, 학업성취도가 좋은 학교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학생의 유입이 끊이지않아야합니다. 해당 지역이 노령화된다면 학군지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겠죠
✔ 서울의 경우 핵심지역의 경우 학군과 무관, 수도권의 경우 선교통, 후학군
'부동산 잡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년 서울 부동산 급지 재평가(feat 22대 총선) (1) | 2024.04.11 |
---|---|
[부동산 뉴스 분석] 주택 정비사업 취소(feat 사업비 증가 및 입주물량감소) (2) | 2024.01.21 |
서울·수도권 부동산 입지 분석 (0) | 2023.12.31 |
[부동산 뉴스 분석] 금리인하 vs 부동산 PF 문제(feat 태영건설) (0) | 2023.12.14 |
2024년 부동산 시장 유동성 증가요인 분석 (1) | 2023.12.05 |
신생아 특례대출에 대한 생각(저금리 사다리 찬스?) (1) | 2023.11.27 |
아파트 가격 지표 - 지금은 부동산 대세 하락장? (0) | 2023.11.24 |